Please Enable JavaScript!
Mohon Aktifkan Javascript![ Enable JavaScript ]
블로그 이미지
브론즈손가락웁티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반응형
반응형
SMALL

인형제조식은 이미 검색하면 다 나오는 정보지만 


왜 그런식이 등장 한건지


또 내가 먹고싶은 인형은 

어떻게 자원을 투자하면 조금이라도 확률을 올라가는지


기본적인 인형제조의 개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간단한게 설명해보겠습니다.



타입별로 설명


A.

기동의 경우에는 전력이 증가할수록

나오는 확률이 증가합니다.



B.

경장의 경우에는 영양이 증가할수록

나오는 확률이 증가합니다.




직업군별로 설명



A.

공격기의 경우에는 전력이 증가할수록

나오는 확률이 증가합니다.



B.

보호기의 경우에는 부품이 증가할수록

나오는 확률이 증가합니다.


그리고 보호기는 부품400이상이 되어야지 등장하는 보호기 최소식이 존재합니다.





C.

지원의 경우에는 다른타입,직업군과 다르게 언제나 높은확률을 유지하며

특이하게도 부품전력 총합이 1400이 넘어갈경우에는 나오지가 않습니다



특수제조 최소식이나 690식에서 다프네,다이카,실키,익스프레셔가 괜히 자주 보이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공통적용사항으로는

용한 자원의 총합이 높을수록 

높은등급이 뜰 확률이 높습니다.












특수제조


특수제조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위에서 알려준 숫자에 x10을하셔서 계산하시거나 

간단하게 일반제조식 수치에 0하나를 

더 붙여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쉽게 설명 하자면

일반제조식은 90 90 90이 최소지만

특수제조식은 900 900 900이 최소입니다


설명 끗 ---





그리고 특수제조에는


고급모듈 사용량이 있는데

고급모듈=SS,S등급 나올 확률증가입니다


SS의 경우에는 정확한 정보가 없지만


S의 경우엔

10개를 넣을경우 10프로

20개를 넣을경우 20프로

50개를 넣을경우 50프로

100개를 넣을경우 100프로 증가


즉 100개를 넣을경우엔 A가 등장하지않고 

무조건 S 또는 SS가 등장합니다.


블러드팬서 중장보호기를 노릴경우엔

많은 자원을 투자하기 떄문에

10~50개보단 무조건 100개 넣으셔서

A등급은 다 거르고 뽑는걸 추천합니다.










2가지의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부품 410 전력 90 영양 90식의 경우에는


보호기 최소식인 부품400을 조건충족했기떄문에 

보호기,지원기,공격기 모두 등장합니다


하지만 영양,전력 수치가 낮기떄문에 

공격기, 나올확률이 매우 낮고 

보호기,지원기가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총합의 수치가 낮기떄문에 

SS나 S보다는 A,B뜰 확률이 높습니다.


실제로 돌려보더라도 

A,B보호기들이 매우 많이 등장하므로 

기계덱의 코어인 A등급 포춘과 

탈B중 하나인 요안나를 얻기위해서 

돌리는 식이기도 합니다.






690 . 690 . 690식 설명


대중화된 이유가 괜히 있는게 아닙니다.


총합이 1380이고 보호기,공격기,지원기가 모두 등장할 뿐더러 영양수치가 높아서 총합이 높아서 높은등급이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여기서 지원기를 뺴고싶으시면 

700 700 690or700식으로 돌리시면 

부품과 전력 총합이 1400이기떄문에

공격기,보호기만 등장합니다.



대부분 69식으로 돌리는데 

지원기가 무진장 나오는 편이니 

저는 무조건 일반제조에서는 10을 더 사용해서 총합1400 넘기는걸 추천합니다..




앞으로 자기가 먹고 싶은 케릭이 있다면 

이 정보를 가지고 자원을 

자기 스스로 해봅시다


물론 확률증가하는건 맞지만

될놈될 안될안입니다.. 

먹고 싶은 인형 먹는 그날까지 화이팅..



반응형
LIST
posted by 브론즈손가락웁티
반응형
SMALL

 

스텟에 관련된 글은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고 개인적 의견이 들어갔으므로 참고만 하시는게 좋고 맹신은 안 하시는 게 좋습니다.

 

 

 

비스트 헌터는 적중200이후 공/치 또는 깡공 타는 게 대부분이어서 적을 게 없었지만 요 근래 5-8EX로 인해서 이것저것 정보를 더 할 게 있어서 적게 되었습니다.

 

 

 

 

 

 

5-8EX를 제외한 딜러로 사용 할 경우.

 

 

적중률200 필수

 

명중 SS칩+스코프SS (치명 트리)를  착용하든지

명중률 강화 +스코프 SS (깡공트리) 착용하든지  

200은 넘기는게 무조건 맞습니다.

 

단. 5-1 ~ 5-4EX까지 5 지역 전체를 본다면 

260은 초과할 필요가 전혀 없기떄문에 

최소 200 최대 220~240 찍어 주시는 게 가장 바람직합니다.

 

 

이후엔 공격 트리가 2갈래로 나뉩니다.

 

 

 

 

깡공 트리

 

패시브 공격력+@ 실키의 공격력 +@로 인해서 

치명타가 없어도 실질적인 클리어 타임이나 요구 스펙 등등 공/치 비스트 헌터랑 큰 차이는 없습니다.

 

이것은 5-8 보스전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단 깡공재료는 초반에는 무지 부족하고 

후반에는 먹을 케릭이 없어서 남아도는 이상한 강화 재료이기 때문에 단기간에 육성할 예정이면 육성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칩: 공격력 / 공격력

 

 

    치명타 / 치명타 

 

깡공인데 치명 칩이 있어서 의아할 수도 있겠지만 10강 SS치명타 2개 착용할 시 치명타 강화가 0으로 기준 잡아도 칩 56% +기본 치명타 10% +스코프 풀강화 20% 총합 86% 달성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약간만 생각해봐도 아실 테지만..

이 정도의 하이엔드 스펙 경우에는 고지 역 파밍 작업 중에 계실 테니 깡 공보 다는 공/치 비스트 헌터로 전환하고도 남았을 시기입니다..

 

 

 

 

 

 

OS : 상황에 맞게 착용

(중장이 많으면 중장 경장이 많으면 경장 절충돼서 나올 경우엔 피해 증가/받피 증가)

 

장비 : 스코프

    

 

 

 

 

공치 트리

 

크리티컬이 뜰 경우엔 깡공비스트헌터보다 약 1.4배 더 강력하고 더 낮은 스펙으로도 크리티컬 잘 뜰 경우엔 깡공트리보다 훨씬 빠르고 쉽게 지역이 클리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거기다 공격력/치명타 스텟은 1-5b 2-1ex 등등 파밍이 쉬운 곳이 있기에 스텟 강화가 편하다는 이점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단 공치 트리는 온리 공치를 먹이다 보니

적중률은 강화가 충분히 된 SS칩이 매우 필요할뿐더러 SS칩이 없어서 S칩으로 해결하려고 하면 

2쪽을 껴야 하고 그로 인해서 치명타 칩을 못 끼게 되다 보니 치명타 보정이 힘든 단점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강화는 깡공트리보다 쉽지만 장비 의존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칩: 명중 SS / 치명타 (명중SS 10강 70프로)

     명중S  / 명중S  

 

명중S 또한 고강 스코프 기준 치명타로 변경 가능.

 

모듈 : 상황에 맞게 착용

 

장비 : 스코프

 

 

 

 

 

 

 

 

 

 

 

5-8EX 파밍 비스트 헌터

 

 

비스트 헌터 스텟 글을 수정하게 된 주 이유입니다.

 

5-8 보스의 경우에는 적중률을 많이 준 깡공이든 투자를 안 한 치명 타비 헌이 든 5 턴 이내에 클리어가 가능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었으나

 

5-8EX의 경우에는 5-8과 다르게 조합에서 변경점이 일어났습니다.

 

조합의 주요 변경점 몇몇 개를 이야기하자면

 

1. 기동 캐릭터인 네오딘 또는 모모가 필수조건 부기 때문에 기동지 원기인 익스 프레셔가 제외하게 되었습니다.

 

2. 2라운드 램파트의 지정 보호를 보스 표식기보다 더 빠르게 턴 잡이를 하기 위해서 에이다가 필수로 기용되게 되었고. 

 

에이다 채용함으로써 에이다의 2단 대기 패시브로 인해서 치명타 보정이 매우 간단해졌기 때문에 최대한 공격력과 치명타를 많이 끌어오는 게 클리어 타임에 크게 이득을 얻게 되었고. 그로 인해서 적중률을 준 비스트 헌터가 티어가 나락으로 빠지게 되었습니다.

 

 

 

5-8EX 비스트헌터 세팅

 

적중률 0 (절대 투자 X)

 

강화 공/치 120,120 강화 또는 150 90 강화

 

칩: 치명타 / 치명타 

(치명타 100프로가 오버 날씨 공격 칩으로 변경)

 

모듈: 중장 공격기 os (보스가 중장 공격기)

 

장비: 스코프

 

 

 

 

기존에 깡공트리 타신 분들은 5-8EX지역에서 쓸모없는 적중률도 같이 줬기 때문에 5-8ex 파밍에서 클리어 타임을 단축하고 싶으면 초기화 또는 2호기를 키워야 하는 눈물을 흘릴 수가 없는 상황에 왔습니다..

 

 

개인적으로 네레이드가 비스트 헌터보다 맵 뚫기에는 훨씬 강할뿐더러 

 

의 각각의 장점을 말할 때 대표적으로 나왔던

행동력(네레) vs방관(비헌)이 네레이드 전용 장비로 인해서 방관을 갖추게 되었고 네레이드가 우위에 서게 되었기에 6 지역이 기존 지역과 비슷하게 나온다면 맵 뚫기엔 네레이드 키우는 게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5-8EX 전용으로 생각한다면 2호기보다는 깔끔하게 초기화하는 걸 추천하는 편입니다..

 

****************************************************************************************************

 

 

 

 

 

 

 

 

 

 

 

 

 

 

 

 

 

 

 

 

 

 

 

 

반응형
LIST
posted by 브론즈손가락웁티
반응형
SMALL

뉴비의 스타팅 육성 1탄 링크






B. 루트는


A루트에서 키운 미호+램파트 활용한 

2-1EX돌기가 시작입니다.



A에서 키운 미호 + 램파트를 이용하여 2-1EX를 쉽게 클리어할 수 있겠지만 A루트에서 램파트 미호는 이미 60 근처이기떄문에 이 두녀석으로 쩔을 계속 하게 되면 레벨MAX로 인해서 경험치를 못받아서 경험치 낭비가 일어나고 제일 중요한건 미호 램파트는 제일 핫한 4-8 , 4-4EX를 돌 수 없기에 교체멤버를 육성해야하는 시점입니다.


이떄 교체할 멤버로는 성장이 될 경우 4-8 , 4-4EX , 3-1EX 등등 쫄작 또는 솔플런이 가능한 다이카 , 발키리 , 마리 셋중 다이카를 포함한 2마리를 육성하시면 됩니다. (발키리 다이카 또는 마리 다이카)



발키리가 S등급이라 요구 경험치가 낮아 마리에 비해서 성장속도도 빠르고 클리어속도도 빠르기떄문에 발키리를 제조에서 빠르게 드신분들은 발키리+다이카로 육성하는게 좋지만


초반에는 못 드신 분들이 더 많기 떄문에 2-8에서 드랍이 잘되는 다이카와 2-8클리어하면 주는 만인의 SS 마리 육성을 추천합니다.






B루트 스타팅


A루트 1단계처럼 위에서 택한 2마리를 미호-램파트를 이용하여 2-8 에서 35~40으로 육성합니다.



덤으로 이떄 2-8 쫄작 한자리 남는곳에는 사거리3이상 되는 아무 경장 딜러도 하나 같이 키우시는걸 추천합니다 이유는 2-1Ex 클리어에서 설명



35레벨~40레벨을 달성하면 바로 2-1EX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이렇게 배치하시면 됩니다. 

(샌드걸이 미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리

미호        램파트

다이카


또는


다이카

미호        램파트

발키리





미호,램파드쩔을 발키리 또는 마리가 55레벨~60레벨까지 육성합니다. 


이떄쯤 되면 미호와 램파드가 80이 찍히기떄문에 마리 또는 발키리로 교체하셔야합니다.




쩔받은 발키리 마리가

2-1EX 쩔하는법.






스샷대로 위치 할 경우엔




3열까지 공격이 가능한 적이 있으면 

대부분 7번자리가 주로 쫄들의 탱커역할을 하기떄문에 7번자리의 탱킹능력이 매우 중요해집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한 스펙을 가진 다이카는 40레벨이후부터는 1코어이상이면 충분히 버티기떄문에 

걱정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물론 철충들이 알파고로 빙의해서 1번

저격할 수 있겠으나 500판이상 돌아본 결과로 대부분 7번이 훨씬 많이 어그로가 끌리기 떄문에 1번이 사망해서 자사가 끊기는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그리고 아까전 B스타트떄 말했던

2-8 나머지 한자리에서 키우던 

사거리3짜리 딜러를 4번에 위치합니다



사실상 쩔받는 쫄이지만 이녀석이 존재하면

마리 또는 발키리가 공격하고도 어쩡쩡하게 HP가 남은 적들을 제거하는용도로 클리어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입니다.


거기다 마리같은경우에 부식공격을 받아서 중파 또는 완파나는 가능성을 엄청 줄여주다보니 유무차이가 확연히 보입니다.



이렇게만 맞추시면 


판당 2260 경험치(2-1EX) 

준수한 중장보호기 A스틸 드라코 파밍 

고밀도 연산제어파츠 (빨간쿠션파밍 


매리트를 가지면서

3-7 보다 훨씬 적은 자원투자로 고효율을 낼 수 있습니다



* 7번 자리 다이카 스펙 *


7번에는 무조건 다이카를 배치하시고 다이카는 아까전 2-8에서 40레벨이상으로 업했으므로 강화 상관없이 방어력 칩(A등급이상) 2개를 착용해주시고 

1코어이상을 장착하시면됩니다. 확정 노완파,중파의 안전함을 원하시면 2코어를 장착 하시면 됩니다.


1코어당 고작 출전자원 3차이입니다 3아끼려다가 수복나면 자동사냥도 끊기고  수복비용으로 10~11판 도는 자원을 날리수도있습니다 그러니 코어링크에 아까워 하지말고 안전하게 플레이하는게 훨씬 

낫습니다





이 쩔은 다이카가 70찍을떄까지 무한 뻉뻉이를 돌립니다.


그 이후엔 쩔받고 다이카로 라스트오리진 최고 쫄작위치 4-8과 4-4EX의 회피탱커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4-8,4-4EX의 경우엔 다이카 거지런, 발키리 거지런에 적어뒀기에 링크를 걸어두겠습니다.



여기서 다이카로 4-8 4-4EX을 쫄작하는 이유는 

다이카는 발키리에 비해서 엄청 간단한 스펙을 요구하기떄문에 뉴비들 입장에서는 다이카가 더 효율좋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발키리 4-8 4-4EX 쫄작




다이카 4-8 4-4EX 쫄작런


























반응형
LIST
posted by 브론즈손가락웁티
반응형
SMALL


현재 대부분의 시청자분들이 

"다이카 ~~레벨인데 어디서 업하나요"

"발키리 ~~레벨인데 어디서 업하나요"

"현재 ~~가 ~~레벨인데 어디서 업하나요"


라고 하루에 몇번씩 질문을 받기에 

4-8 , 4-4ex 돌기전에 했던 

저의 쫄작 경험을 적어봅니다.



뉴비들의 쫄작루트는 3가지 루트로 나뉘고 이 3가지 루트를 모두 경험하셔야 합니다.


A의 경우


뉴비가 시작해서 아무런 쫄작해 줄 케릭도 없이 미호-램파드로만 시작하는경우


B의 경우


A에서 키웠던 미호,램파트가 60~80레벨을 달성해서 충분히 다른 케릭들을 쩔해줄 수 있는 경우


기존 딜러가  세대교체할 딜러를 키워주고 

그 세대교체된 딜러가 또 다른 딜러를 

키워주고 반복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할 시 고지역에 더 빠르게 접근이 가능해서 A를 육성했던 시간에 비해서 매우 빨라지고 같은 자원을 써도 2-8에 비해서 최대 8배 경험치 차이가 나기떄문에 그만큼 덜 출전해도 되기에 저비용 고효율로 쩔을 할 수 있습니다.


C의 경우엔


B에서 쩔 해줘서 키운 발키리,다이카를 활용하여 4-8(판당 경험치 3000) , 4-4EX(판당 경험치 6600)을 돌아서 폭업을 시켜주는 트리




최종 종착지점은 C이고 A루트B루트 C루트 3가지 다 알고 계셔야 하루 플레이8시간 + 1주일만에 4-4EX 쫄작이 가능해집니다.


*****

A루트 추천 지역은 강화재료 까지 감안하여 추천한 지역이기때문에 정답이 아니라 다른분들 글을 보시고 따라가셔도 됩니다 제일 중요한건 미호와 램파트 60~70렙 찍는게 목표이기 떄문입니다.



A 루트


쫄작이 아닌 덱을 성장해야하는 뉴비


처음 하실떈  뉴비들의 연인 램파드,미호를 키우셔야합니다


빠른 AP수급 ,많은 공격횟수 ,저렴한 출전비용 등등 시작하는유저 입장에서는 선택이 아닌 거의 필수라고 생각하시고 육성하시면 됩니다


램파드를 구하는 방법은 로봇제작입니다

램파트 제조에 관한건 연구를 설명한 초보들을 위한 정보 2탄을 보시면 됩니다.


2탄링크



미호를 구하는 방법은 제작 또는 

1-8드랍 획득 입니다


운이좋게 미호를 제작으로 먹었든 제작으로 못먹었든 링크를 위해서는 1-8을 돌아야하기떄문에 1-8뺑이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1. 레벨 1~30


처음에는 그리폰 , 요안나 , 콘스탄챠 , 임펫 ,레프리콘으로 지역을 클리어한후 램파트를 조건을 달성 이후 미호파밍을 시작하시면 됩니다.


게임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미호를 3개~4개 먹을떄까지는 1-8 떠날 생각을 절대 하시면 안됩니다.



처음에 1-8에 갔다가는 보스의 원기옥에 

바이오로이드가 터져나가는걸 보시게 될겁니다. 

그래서 어느정도 육성을 하고나서 파밍을 시작해야하는데 처음에는 초반에 부족한 스텟강화재료 파밍할겸 1-5b나 1-7에서 20레벨까지 육성후에 1-8로 가시면 아무 문제 없습니다.





2. 레벨 30~60


그 이후에는 2지역을 뚫어서 2-8구간에서

램파드+미호에 미호 지원사격을 한번 더 받을 탱커 하나를 더 넣으신후 (핀토추천)

비스트헌터 5마리 파밍까지 육성합니다


(이프리트가 미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초반에 추천하는 조합은 넘버패드기준

(빨간색 이름은 쫄작필수케릭)


6번 램파드 5번 핀토 4번 미호


2번에 임펫or리제or그리폰 셋중 택1


4명으로 맞추시면 좋고 

나머지 한자리는 1또는 7번에 

마리를 제외한 SS등급은 절대 넣지마시고

최애캐 넣으시고 키우시면 됩니다


만약 초반제조로 운이 좋게 발키리를 얻었으면 

1,7번 자리에 발키리를 넣는것을 추천합니다

A루트가 완료 되면 B루트를 타게 되는데

B루트 중심 케릭 3개가 마리,다이카,발키리가 중심이기 떄문입니다.




3.레벨 60~70


여기선 이제 나뉘는편인데 

2-8에서 비스트헌터를 운좋게 빠르게 5기를 획득했으면 더 적은 자원으로 천천히 육성하실꺼면 3-7에서 렙업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강화스텟드랍이 2-8이 훨씬 좋고 렙업속도는 자원이 많이 소모되더라도 2-8이 더 빠른편이므로 3-7 또는 2-8 선택해서 도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2-8에서 육성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이 상태에서는 절대 70은 초과하지 말아야 합니다. 60~70쯤 되는 레벨이 되면 비스트헌터를 못 구했다 한들 B루트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그 이유는 비스트헌터를 파밍했다한들 곧 바로 5마리를 동시에 사용하는것도 아니고 브라우니 솔로런 , 발키리 솔로런 등등 더 적은 비용을 쓰면서 구할 방법이 있기떄문에 자원낭비를 막기 위해서입니다.







2탄


반응형
LIST
posted by 브론즈손가락웁티
반응형
SMALL

현재까지 나온 지역에서 

SS드랍이 없는 장비들은

(반격,공격,회피 기타등등)

S장비드랍으로 표기했습니다.



덤으로 

이름만으로 알기 힘든 장비들은

사진 첨부하였습니다.



칩= 20 , 40 레벨 착용 장비

OS=   60레벨 착용 장비

장비= 80레벨 착용 장비

(몇몇 케릭터들은 예외)





일반지역


4-8


기동공격증가 os SS



사이드 지역



3-6b


반격 os S


3-7b



전투자극제 S



4-2b


콘스탄챠 전용장비



4-6b


방어력 칩 SS



5-6b


효과저항 칩 SS



5-7b


그리폰 전용장비



Ex.엑스트라 지역


2-3ex


효과저항 칩 SS



2-4ex


방어력 칩 SS

Hp 칩 SS



3-1ex


능력치증가 os SS



3-4ex


방어모듈 os SS



4-1ex


효과저항 칩 SS


요안나 전용장비


4-3 ex


공격력증가/행동력감소 os SS




4-4 ex


장비 스코프 SS



5-1EX


대기동 공격 os SS

효과저항 칩 SS




5-2EX


대중장 공격 os SS


특수장비 사거리증가 SS (공격기전용)



5-3Ex


대기동 공격 os SS 

행동력 칩 SS



5-4EX


경험치증가 os SS 


특수장비 AP증가 SS 




반응형
LIST
posted by 브론즈손가락웁티
반응형
SMALL










1.인형 타입과 직업군


라스트 오리진에는 총 기계,중장,경장,기동 총4가지타입으로 나뉘고 보호기,공격기,지원기 총 3직업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직업군은 케릭터카드 상단좌측에 아래 스샷표시로 금방 구분이 가능합니다


 

보호기는 공격기 또는 지원기를 보호해주면서 패시브버퍼 또는 평타 디버퍼 역할이 주 된 탱커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공격기는 설명을 할 필요도 없이 말 그대로 공격지분을 담당하는 딜러 역할



지원기는 아군 버프,디버프해체 등등 서포터 역할을 주된 임무지만 패시브를 활용하여 서브딜러 또는 서브탱커 역할을 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직업군입니다


물론 직업군은 타게임을 하셨으면 헷갈리는 경우가 없겠지만 타입에 대해선 저 또한 스타팅할떄 헷갈리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타입별로 간단히 설명해보자면


1.기계


기계의 종류는 적지만 개개인의 스펙이 뛰어나고 서로 시너지를 일으켜 매우 강한 부대가 되는 소수정예부대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매력적인 인형들을 사용할 수가없기떄문에 성능의 문제보다는 외견의 문제로 사용하는사람이 매우 적은 비운의 타입입니다.



2.중장


중장은 경장에 비해서 높은 출전자원비용, 낮은 AP(턴을 가지고 오는 포인트)이라는 단점을 가졌지만

매우 높은 스킬계수 , 매우 높은 방어력과 체력 매우 강한 스킬과 사거리를 보유해서 AP보정을 해줄 수 있는 지원기만 있으면 매우 강력한 효과를 내는 라스트오리진의 기둥같은 존재입니다.



3.경장


경장은 중장에 비해서 낮은 출전자원비용높은 AP회복을 가졌지만 중장과 반대로 낮은 스킬계수 , 중장에 비해서 턱없이 낮은 생존성,유틸성을 보유해서 시간이 지날수록 힘이 빠지는 타입입니다


단점들이 비록 후반에는 큰 결점으로 돌아와서 중장들에게 밀리지만 높은AP회복수치와 초반부터 수집이 쉬워서 초보들이 사용하기엔 매우 좋습니다.



4.기동


기동은 기계,중장,경장과 다르게 매우 높은 회피율매우높은 AP수치회복을 가졌습니다

그로 인해서 다른 타입보다 훨씬 많은 턴사용과 피해가 0이 되는 회피로 인해서 안전하게 굴릴 수 있는 매우 매력적인 타입입니다.


하지만 회피탱들이 그렇듯이 회피를 못할 경우엔 매우 큰 리스크로 돌아와서 적들이 매우 높은 적중률을 보유한 구간에서는 힘을 쓰기 힘들어지고 서로간의 시너지조합을 구성하지 않을경우엔 다른 타입에 비해서 매우 약해집니다 거기다 조합을 짜서 운용한다고 하더라도  기동의 코어딜러인 멸망의 메이의 경우엔 사망할 시 자폭기능으로 아군을 역으로 초토화낼 수도 있기떄문에 덱을 활용하려면 현재 클리어 하려는 맵의 몹정보가 매우 많이 필요한 타입중 하나입니다.







2. 출전비용 



앞서 말한 라스트오리진은 4가지의 인형종류와 3가지의 직업군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출전하는 인형타입,직업군,등급에 따라서 자원 소모량이 차이나는걸 제대로 인지 못하고 덱구성을 막하다가 자원 불균형이 일어나서 제조도,전투도 못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보았습니다


종류별 출전비용은 대체로 이렇습니다

사진속 자원 옆 수치 보시면 더욱 이해하기 쉽습니다.



기계-


 높은부품 높은전력 사용


중장 보호기 


높은부품 중간영양 낮은전력 사용


중장 공격기 


매우높은 수치의 모든 자원을 동일수치로 요구


경장 보호기 


매우높은 부품,영양 매우낮은 전력


경장 공격기 


중간부품 높은영양 중간 전력


경장 지원기 


중간부품 높은영양 매우낮은전력


기동 보호기 


중간부품 높은영양 중간전력


기동 공격기 


매우낮은부품 높은영양 매우높은 전력


기동 지원기 


낮은 부품 높은영양 높은전력



기동과 기계 중장공격기를 섞어서 덱에 편성하고 출전할 시 전력과 부품이 매우 부족해지고 영양은 남아돌게 됩니다

그렇기 떄문에 1,2스쿼드는 대부분 사용자원을 다르게 운용하는게 좋고 애정케릭전용덱인 일명 짬뽕덱(모든 종류를 다 섞어서 사용하는덱)을 운용할 시 애정케릭들 종류를 확인하고 출전비용을 신경을 쓰셔야 애정케릭들은 자원난에 안 시달리고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3. 스텟 보는법


제가 답변해드렸을떄 안된다고 하시면서 오시는 초보분들 중에 스텟표기법 보는걸 실수를 많이 하시더라구요.


매우 간단하지만 착각하기도 쉬운 스텟보느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현재 제 다이카로 보시면





회피율로 예를 들면154.85 (+134.85)%

이렇게 적혀있는데 대부분의 유저들은 현재 회피율을 말해달라고하면 저 2개를 더해서 말씀해주십니다...


현재 스텟은 회색이 정확한 수치입니다


초록색은 아이템+강화로인해서 얼마나 올라가는지 알려주는겁니다.


제가 적은 모든 정보글에서 스텟요구수치도 회색수치입니다 

그래서 방송에서 질문을 하실땐 언제나 회색수치만 말씀 해주셔야합니다!







회피 SS 17.5프로를 해체할경우엔 초록색 아이템 +@된 수치가 깍였고 

그로인해서 현재 실수치인 회색수치도 내려간것을 알수 있습니다



4. 연구






라스트오리진은 자원이 매우 부족한 게임이기떄문에 

자원에 이득을 주는 연구가 0순위라고 생각 할수도 있겠지만


초반부터 업그레이드하기엔 조건부에 막히고 

초반에 큰이득을 가져오는건 자원업그레이드가 아닌 오토,제조,요일던전을 1순위로 가져오는게 중요합니다


그다음은 라스트오리진의 최고 문제점 자원에 이득을 주는 자원연구가 2순위입니다


제가 추천하는 연구트리는 


1.지휘대행시스템


2.로봇연구 

-조건부에 로봇2개 획득이라서 어리둥절하신분들이 계신데 

1-4,1-5,1-5b지역을 클리어하면 로봇을 보상으로 주고 그 보상을 받을 경우에 카운트 됩니다.


3.시뮬레이팅시스템1



4.자원재활용,운송드론



5.중장 제조



찍는게 가장 좋은 효율로 나옵니다.


몇몇분들이 또 자원재활용 끝단계,운송드론 끝단계 찍고 그 이후에 특수제조를 올릴거 같아서 이야기하지만 특수제조를 마지막에 연구하란게 아니라 자원재활용,운송드론을 연구 조건불충분할떄 찍어라는겁니다..


이후에는 자기가 게임하면서 판단하에 올리시는게 좋습니다.







로봇연구는 위에 로봇설계제조 연구를 할시 그 밑에 로봇제조시스템이 오픈되는데


가장 빠르게 해야할것은 강화로봇프레임-충격완화장치,대상보호모듈을 개발해서 램파트를 제조하는것입니다


1탄에도 말했듯이 램파트는 초보들에게 갓파트 그자체고 현재 유일하게 사용가능한 경장탱커이자 B등급이지만 사실상 SS등급 스펙을 가지고있는 케릭터입니다


이후에는 기계덱 하시는게 아니라면 

가만히 두셔도 상관없습니다.








1









반응형
LIST
posted by 브론즈손가락웁티
반응형
SMALL

방송할때 뉴비분들이 오시면 매번 같은 실수를 하고 많은 질문들을 모아서 정리한 글입니다 


스텟관련 큰틀과 같이해서 한번쯤은 읽어보는게 좋을듯 합니다.



1.등급



라스트 오리진을 새로 시작하는 유저들에게 제일 많이 질문중에 하나는 바로 라스트 오리진 사용하는 인형입니다 그중 등급질문이 가장 많은데 대부분의 유저들의 덱상담을 받아서 계정에 들어가서 확인해보면 처음부터 고등급=성능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SS와 S를 다 집어넣은 편성표를 주는경우가 대다수인데 저는 매우 비추천합니다


일단 SS랑 S는 출전비용도 출전비용이지만 대부분 SS들은 조합의 시너지로 큰 이득을 보는 케릭인데 초보땐 그런 시너지조합을 인형이 부족해서 편성 할수도 없고 경험치요구량이 B의 2배 A의 1.7배가량 되므로 성장속도도 매우 느리기떄문에 4~5지역 클리어가 매우 느려집니다 


이렇게 답변 해드리면 SS 초반부터 키우면 스킬레벨업과 레벨업하니 더 좋은거 아닌가? 라고 반박하는 분들이 계신데 고지역을 뚫어서 쩔하는 딜러와 탱을 넣어서 고지역에서 쩔하게 되면 경험치 몇배차이를 내기떄문에 사용자원,시간이 최소 9배 쩔하는 케릭에 따라서 최대 10배이상 절약됩니다


스샷은 추후첨부




2. 그러면 시작할때 키우면 좋은 케릭이 뭐가 있을까?



미호 


4지역까지 패왕 , 비스트헌터와 같이 쩔딜러 패왕 라스트 오리진 98프로 유저가 첫번째 육성하는 케릭터


켈베로스 


손컨 기준에서는 별로지만 자사기준 패시브로 인해서 2스킬이 없이도 방어 가능해서 쫄 또는 미호방어가 용이한 케릭터


램파트 


지니야,레이시,요안나,LRL 와 같이 대표적 탈B급 케릭이자 5지역에서마저 채용하는 탈B의 수장 


핀토


초반에 우월한 스펙 후반  메이-나이트엔젤 기동덱 주요 딜러 보좌로도 사용가능한 회피탱


요안나


램파트와 같이 탈B의 수장 적은 자원사용으로 극효율을 뽑는 대표적인 경장탱커


다이카


현재 회피거지런으로 가장 핫하고 거지런이 아니더라도 사거리+1,적중률,치명타보정이 가능하면서 평타디버프도 강력한 라스트오리진 실키,레오나와 함께 3대적폐 서포터케릭




더 있지만 구하기 쉬운 케릭들로만 구성했습니다


스샷은 추후 첨부



3. 링크 시스템


라스트 오리진은 같은 인형을 먹여서 강화시키는 시스템인 링크 시스템이 있습니다 중복인형이 뜨면 실망하는 유저분들이 계신데 오히려 중복인형이 뜨는게 훨씬 이득일 수 있습니다

물론 같은 인형이 아니더라도 코어링크를 할 수 있지만 적합률이란게 있어서 같은 인현을 박는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적합률에 대해서 짤막한 설명을 하자면


동일한 기체일경우 무조건 100프로


타입이나 직업군이 하나라도 다를경우엔 (타입,직업군은 2탄에서 설명) SS등급 50프로 나머진 30프로


같은타입,같은직업군 기준으로

SS등급 75%

S등급  60%

A등급  45%

B등급  30%


추가 능력치를 얻습니다.




그럼 코어 링크를 할 시 뭐가 좋은가?

100프로 적합률로 링크를 할시 '현재' 케릭터의 공격력과 최대HP의 20프로 증가하게됩니다 이 경우엔 아이템으로 올린 HP 공격력도 같이 증가 하게 되므로 장비중에서 공격력증가 효율이 엄청난편이죠





4. 수복 시스템


많은 초보분들이 질문하시는것중 하나가 수복인데

라스트오리진의 수복은 타게임과 다르게 전투종료시 깍인 HP를 수복하는 시스템이 아닌 중파가 나지않는 이상 전투 종료하면 피가 최대로 자동회복됩니다


단 중파가 날 경우에는 전투종료시 깍인 HP로 마무리 되는데 수복비는 매우 비싼편으로 중파를 덜 당하면서 클리어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거기다 라스트 오리진은 소녀전선과 달리 단일기체퇴각이 없고 오로지 퇴각은 5인퇴각=패배만 있으니 한케릭만 공격 당하게 하면서 버티는건 좋은 클리어 방법이 아닙니다.





5. 리더 시스템


초보유저는 물론이고 50~60 지휘관레벨을 찍고도 이런 시스템이 있었어!? 라고 놀라시는분들이 있을정도로 대부분 유저들이 신경 안쓰는 컨텐츠중 하나가 리더지정입니다


리더를 지정할 시 전투경험치 20프로 추가획득과

탐색 출발,도착 대사를 리더가 하게됩니다


탐색 출발,도착 대사출력은 그다지 중요한게 아니지만


전투경험치 20프로차이는 꽤나 효율적인 시스템입니다 출전비용이 매우 높은 중장 종류에게 걸어줄경우 80레벨까지 육성할 시 매우 많은 자원을 보존할수있으니 중장케릭터들을 키울 시 꼭 지정해주십시다!


스샷은 추후 첨부


2탄


반응형
LIST
posted by 브론즈손가락웁티
반응형
SMALL

회피수치는 대기실 케릭터 정보창 기준입니다


절대 다이카 패시브 받고 +@로 계산된게 아닙니다!


그리고 다이카는 패시브가 전방에 있을수록 

강화되므로 9,6,3에 위치하는건 기본중에 기본입니다!





2-3Ex 솔로런


회피98이상 

반격모듈 

적중률 170

패시브레벨 6이상


다이카 육성시에 가장 적은 자원을 쓰면서 육성가능한 케이스


단 시간대비 경험치효율은 매우 구린편입니다


회피98이상+최전방에 위치할경우 

거의 상시회피가 발동되고 반격모듈 버그로인해서 상시반격이 되므로 저비용 고효율을 보이는 장소. 


잠잘때나 켜놓고 딴일할때 세워두면 매우 좋은구간





4-8 쫄작


다이카가 80레벨이 안 될 경우



다이카 4코어 이상 회피 135이상

스킬레벨8이상 

LRL배치 

명중 220 이상 2명 필요.



*단 이 스펙으로 돌시 매우 드문확률로 중파가 나올수있으니 잠잘때 도는건 비추합니다


다이카가 80레벨일경우


다이카 2링크이상 회피125이상 + 8렙이상

80레벨 특수장비 보조무스터MP착용필수

명중240이상 딜러1명 필요


쫄작2명가능





보조부스터 끼면 중파 안나는 이유

보조부스터가 없을시 3월11일기준 버그로 인해서 회피감소디버프가 문제가생겼는데 보조부스터가 있으면 이 문제를 해결해주기떄문 회피감소디버프 버그가 해결될 경우엔 70레벨부터 안전하게 클리어 가능




3월 15일부로 버그가 해결된듯하니 이제 회피135이상만 되면 될듯 합니다






4-4ex 쫄작


여긴 다이카스펙이 아닌 탱커와 딜러 스펙이 매우 중요해집니다.


다이카스펙은


회피115이상 (회피 214렙 , 80레벨 장비 보조부스터A이상일경우에 115달성가능)


+ 패시브 스킬레벨 8이상



또는


패시브 110 이상 + 스킬레벨10이상



명중률 200이상 


- 명중률 175~180으로도 가능하지만 200정도가 깔끔합니다 ss명중칩이 있을경우엔 ss 명중칩 1개만 착용해도 해결가능


반격모듈 


- 스캐럽이란 적이 적중률버프를 주는게 2개가 중첩 될 경우엔 다이카가 회피 300이넘지않는이상 무조건 타격받기떄문에 이 버프를 지우는게 4-4ex 도는 가장 중요한 요소



4-4EX 딜러,탱커 컷



1.명중률 200이상 사거리3 

스캐럽한테 대미지 3200이상 나오는 딜러필요


(중파리제 , 나이트엔젤 강력추천!!! 명중률200이상 공격력 1300이상 중파요구.)


스캐럽을 빠르게 끊어주지 못할 경우나 

반피로 못만들 경우엔 스캐럽이 적군에게 적중 버프를 걸어줌으로서


다이카가 터지기떄문에 

전열을 공격하면서 스캐럽의 버퍼조건을 삭제시킬 수 있는 딜러가 필요하기때문



2.탱커스텟요구


4-4EX는 사거리버프를 받을경우 

헤비스카우터가 3열을 떄리게 되는데 

딜러는 버틸수가 없으니 

열보호 보호기로 딜러들을 보호 해줘야합니다


대표적으로 4-4EX열보호탱커는 

코코 하치코가 있습니다


코코는 2-4지역을 클리어 후에 보상으로 줘서 습득도 쉬울뿐더러

2스킬에 쉴드가 있고 기본스텟도 좋아서

최소요건이 매우 간단합니다.


4-4EX 에서 버티려면 60레벨찍고

체력3100 방어력380 스킬레벨 6~7정도 찍어주시면됩니다


아이템은 2스킬을 위해서 행동력칩 2개 착용을 추천합니다.


모듈은 당연히 방어OS


이 육성은 4-8에서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하치코의 경우는 코코에비해서 

성장스텟이 매우낮고 쉴드도 없다보니

강화는 물론이고 아이템도 착용도 더 요구수치가 높습니다.


방어력410이상 체력3200이상 

방어모듈 os SS 착용하고나서는 

중파가 단 한번도 안났습니다.


좀 더 컷을 낮출 수 있겠지만 

경험상 절대 중파가 나지않는 컷으로만 

설명하겠습니다.


다이카 자체스펙은 4-8보다 낮아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딜러,탱커가 스펙이 부족할 시 

중파,완파가 엄청 자주일어나니 

딜러,탱커컷을 신경 더 쓰셔야합니다






동영상은 추후 첨부

반응형
LIST
posted by 브론즈손가락웁티
prev 1 ··· 5 6 7 8 9 next